북한 인프라
평균 등락률
0.17%
총 기업수
29개
기업 등락 추이
상승 15개
하락 12개
보합 2개
최고 상승주

1,363원
48원
3.7%
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에서 동해선과 경의선에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기로 합의하면서 철도주, 시멘트주, 건설주 등 인프라 관련주들이 크게 상승했다. 북한은 인프라 수준이 매우 낮아 개방시 인프라 기업들에게 큰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.
북한은 교통 인프라 투자가 시급한 과제다. 북한에서 철도는 화물 수송의 90%, 여객 수송의 62%를 책임지지만 98%가 단선이고 70% 이상은 일제시대 당시 건설됐다. 복선화 비율은 3% 수준이다.
또한 북한 도로의 총 길이는 한국 도로의 24.1%에 불과하다. 특히 고속도로 길이는 774km(2016년 기준)로, 한국(4438km)의 5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. 고산지대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낭림산맥 등이 도로망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.
[관련종목]
남광토건, 대우건설, HDC현대산업개발, 현대건설기계, 현대엘리베이, 디와이파워, 진성티이씨, 쌍용양회, 아세아시멘트, 삼표시멘트, 한일시멘트, 광명전기, 이화공영, 특수건설, 현대제철, 현대로템, 다원시스, 대호에이엘, 대아티아이, 비츠로시스, 다산네트웍스, 도화엔지니어링, 에코마이스터, 디케이락, 하이록코리아, 국영지앤엠, 알루코, 상신브레이크, 포스링크
이 테마에 속한 기업들
2025.05.05 15:58기준
종목명 | 주가 | 등락률 |
---|---|---|
종목명 | 주가 | 등락률 |
대원전선 | 2,755원 | 1.08% |
남광토건 | 8,380원 | 0.48% |
대우건설 | 3,600원 | 1.55% |
HDC현대산업개발 | 25,400원 | 1.80% |
HD현대건설기계 | 69,100원 | 2.07% |
현대엘리베이터 | 75,000원 | 1.49% |
디와이파워 | 11,700원 | 0.43% |
진성티이씨 | 9,150원 | 1.55% |
쌍용C&E | 0원 | 0.00% |
아세아시멘트 | 10,990원 | 0.09% |
삼표시멘트 | 3,115원 | 0.80% |
한일시멘트 | 18,090원 | 0.50% |
광명전기 | 1,426원 | 0.07% |
이화공영 | 1,616원 | 0.00% |
특수건설 | 8,090원 | 1.22% |
현대제철 | 24,700원 | 0.82% |
현대로템 | 111,500원 | 0.62% |
다원시스 | 8,700원 | 0.46% |
대호에이엘 | 1,906원 | 1.44% |
대아티아이 | 3,915원 | 3.93% |
비츠로시스 | 330원 | 0.92% |
다산네트웍스 | 2,760원 | 0.36% |
도화엔지니어링 | 6,580원 | 0.77% |
디케이락 | 7,720원 | 1.45% |
하이록코리아 | 28,750원 | 0.52% |
국영지앤엠 | 1,363원 | 3.65% |
알루코 | 2,115원 | 0.24% |
상신브레이크 | 2,970원 | 0.34% |
CNT85 | 785원 | 4.27% |